티스토리 뷰
목차
장애인증명서는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뿐 아니라 부모님, 자녀 장애인증명서가 필요하신가요. 장애인증명서 발급은 3가지 방법으로 처음 발급받으신 분들도 알기 쉽게 간단하게 소개합니다.
장애인증명서 발급 방법
장애인증명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임을 증명하는 공식 서류'로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때 필요합니다.
인터넷, 방문, 무인발급기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니 편하신 방법을 선택해서 장애인증명서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
1. 인터넷 발급
주민센터나 무인민원발급기에 방문하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주로 인터넷 발급을 이용하는 편입니다.
✅ 신청자격 : 본인 (온라인은 대리인 신청 불가)
✅ 처리기간 : 즉시
✅ 구비서류 : 없음
✅ 수수료 : 무료
-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발급하기'를 선택합니다.
- 회원/비회원 신청가능 서비스입니다.
카카오, 네이버, PASS 등 간편 인증 및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해 주세요.
- 성명, 주소, 수령방법을 선택합니다.
수령방법은 온라인발급(본인출력), 방문수령, 우편 등 원하시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주민센터 방문
대리 발급이나 온라인 발급이 어렵다면 직접 방문하여 장애인등록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자격 : 본인 및 대리인
✅ 처리기간 : 즉시
✅ 구비서류 : 신분증, 장애인등록증, 대리인(위임장, 대리인 신분증)
✅ 수수료 : 무료
부모, 자녀 등 대리인의 장애인증명서는 장애인증명서 발급은 위임장을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사망한 자의 장애인증명서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가족관계 확인 후 발급이 가능합니다.
거주지 외에도 어디서나 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발급받을 수 있으니 아래 링크를 통해 가까운 주민센터를 검색해 보시길 바랍니다.
3. 무인발급기 발급
무인발급기는 지문을 이용하여 본인인증을 하기 때문에 대리 발급은 불가능합니다. 총 6251곳에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되어 있으니 설치 장소를 확인하셔서 편리하게 발급받으세요.
- 보건복지 카테고리 선택
- 장애인 증명서 발급
- 본인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번호 입력 및 지문 인증
- 문서 부수 선택
- 장애인 증명서 발급 완료!
가까운 무인발급기는 지역 시/도, 시/군/구, 읍/면/동을 선택해서 검색해보세요.
장애인증명서 발급 주의사항
1. 장애인증명서 제출 시 최신 발급본을 요구할 수 있으니 발급일자를 꼭 확인하세요.
2. 부모, 가족 장애인 증명서를 대리 발급 하시려면 인터넷 발급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3. 제출 시 온라인 제출이 가능한지 종이 출력본이 필요한지 확인하세요. 일부 기관에서는 PDF 파일 제출이 가능합니다.
4. 장애인등록증과 증명서는 서로 다른 서류입니다.
마치며
장애인증명서 발급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간편한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말 정산 및 기타 혜택을 위해 대리 발급이 필요하시다면 주민센터를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처음 발급받으시는 분들도 쉽고 편리하게 발급받는데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1분이면 끝!)
보건증 인터넷 발급을 간단하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식품, 유흥업 종사자라면 매년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법령에 따라 보건증 미발급 시 과태료가 부가되
gkrryrkwjd.tistory.com